부정맥
- 부정맥이란?
- 심장 부정맥은 심장 박동 리듬에 이상이 있는 질환으로 크게 동기능 장애, 방실차단, 조기수축, 빠른맥으로 나눌 수 있으며, 동기능 장애, 방실차단은 느린맥으로 나타납니다.
심장부정맥의 분류
동기능장애 | 동부정맥, 이탈 박동 | 동부정맥은 호흡과 관련되어 발생하며, 이탈 박동은 동결절에서 심박동이 생기지 않을 때 일종의 방어 기전으로 하부 조직에서 심박동을 만들어 내는 방동입니다 |
---|---|---|
동부전증후군 | 대부분 광범위한 심방 수술 후에 발생합니다. 실신,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있고, 증상과 심전도 변화의 관련이 확실하면 심박동기를 삽입합니다. | |
방실차단 | 제 1도 방실차단, 제 2도 방실차단, 제 3도 방실차단 | |
조기수축 | 심방조기수축, 심실조기수축 | |
빈맥 | 상실성빈맥 | 방실접합부회귀성 빈맥, 심방조동, 이소성 심방성 빈맥 |
심실성빈맥 | 심실빈맥, 심실세동 |
부정맥 - 심실빈맥
치료① -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심도자술을 시행하여 전기 생리학적 검사 빈맥의 기전을 규명한 후 정확한 원인 병소를 찾은 후 고주파 전류를 가함으로써 그 부위의 세포에 열 손상을 입혀 원인 병소를 치료하게 됩니다.
-
치료대상이 되는 빈맥
- - 방실 회귀 빈맥
- - 방실 결절 회귀빈맥
- - 심방조동
- - 접합부 이소성 빈맥
- - 특발성 심실 빈맥
- - 심근병증
- - 할로사징 수술 후 생긴 심실 빈맥
-
-
치료② - 인공심박동기
인공 심박동기란?
심장에 규칙적인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도록 고안된 일종의 전자 제품으로 배터리와 작은 컴퓨터 칩이 조그마한 금속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습니다. 이 케이스와 연결된 전기 유도선을 통해 전기 자극이 심장에 전달되어 심장 근육을 흥분시켜서 심장이 수축하게 됩니다.
삽입위치인공 심박동기는 전기 유도선을 정맥을 통해 심장 내로 넣는 방법과 전기 유도선을 심장 밖 심장 근육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. 소아의 경우, 전기 유도선의 크기에 비해 정맥이 작기 때 문에 심장 밖에 전기 유도선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게 되며 이 때 박동기 몸체를 횡격막 바로 아래의 배 위쪽에 넣어줍니다.
-
-
심박동기 환자의 추적관리법
- - 박동기 삽입 직 후 (이식 후 6~8주)
- 시술부위 점검
- - 중간 추적관리(8주 ~ 교체시점 1년 전)
- 6~12개월 마다 추적 관찰함
- - Elective Replacement Period(ERP)추적관리 (배터리 수명이 1년 이하 남았을 때)
- 1~2개월 마다 추적 관찰함
-
-
방실차단
- - 3도 혹은 2도 방실차단이면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때
- - 심부전을 포함한 서맥과 관련된 임상증상이 있을 때
- - 증상을 동반하는 서맥을 유발할 수 있는 약제의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
- - 동반 증상이 없더라도 깨어있는 상태에서 무수축이 3초 이상이거나 이탈율동이 분당 40회 미만인 경우
- - 전극도자절제술 후 발생한 경우
- - 심장수술 후에 발생하여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
- - 신경근육 질환과 동반된 경우
-
동기능 부전 증후군
- - 포함하여 증상이 동반된 서맥이 확인된 경우
- - 증상이 있는 심박수 변동성부전
-
만성 양속차단 및 3섬유속 차단
- - 만성 양속차단 및 3섬유속 차단
- - 간헐적인 3도 방실차단
- - 2도 type Ⅱ 방실차단
- - 교대 각차단